맨위로가기

대진여객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진여객 (서울)은 1962년 삼선합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이다. 1966년 동양교통 (주)로 법인 등록 후, 대진운수를 인수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서울시 시내버스 체계 개편 이후 간선, 지선, 마을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5월 기준 110번, 143번, 162번 등 간선버스, 1014번, 1020번 등 지선버스, 성북05번, 성북06번, 성북07번 등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415번, 1번, 3번, 71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며, KBS 다큐멘터리에 소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진여객 계열사 - 남성버스
    남성버스는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둔 버스 운송 기업으로, 동서교통으로 설립되어 남성교통과 통합 후 현재 사명이 되었으며,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 2020년 남성교통에서 분할되어 새롭게 출범했다.
  • 대진여객 계열사 - 대명운수
    대명운수는 1999년 동성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도시형 버스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196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196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삼화고속
    삼화고속은 1966년 설립되어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으로,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27개 노선을 운행하며 9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창경궁로
    창경궁로는 서울 중구에서 성북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로, 여러 구간 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서울의 주요 도로들과 교차한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대진여객 (서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진여객 주식회사
원어Daejin Transporation Co., Ltd.
종류주식회사
창립1966년 4월 8일
시장 정보비상장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204 (정릉동)
국가대한민국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마을버스
자본금1,530,000,000원 (2023.12)
매출액46,134,654,816원 (2023)
영업이익378,962,518원 (2023)
순이익641,660,519원 (2023)
자산총액31,867,931,680원 (2023.12)
종업원512명 (2018.12)
인물
대표이사김영진
주주 정보
주주임금호 : 13.53%
주주김영진 : 13.26%
주주김영준 : 11.62%
주주지영숙 : 11.30%
주주김광섭, 김호섭, 김민섭 : 각 9.71%
주주김영상 : 9.07%
주주김종환 : 2.04%
주주정무균, 정승호, 김흥국, 주식회사 이원산업, 서원인터내셔날 : 각 2.01%

2. 역사

1962년 6월 삼선합승(삼선버스, 2001년에 서울승합으로 피합병)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입석 71번(현 162번)을 대창운수(이후 동남교통)와 공동 운행하면서 사업을 시작했다. 1966년 5월 동양교통 (주)로 법인등록하였다. 1978년경 도시형버스 3번이 3번(정릉 - 영등포)과 302번(망우리고개 - 서강)으로 분리되면서 동양교통은 3번을, 정마운수(대창교통에서 1970년 사명 변경)는 302번을 각각 운행하게 되었다.

1980년 삼선버스로부터 도시형버스 1번을 양수받아 운행하였고, 1-1번을 신설하였다. 이후 삼선버스서울승합에 흡수되면서 동양교통은 삼선버스와 계열분리되었다. 1983년 차고지를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고, 상원여객으로부터 좌석버스 725번을 인수하여 4년간 운행하다 동남교통에 매각하였다. 1982년 1번을 1-1번에 통합, 1987년 1-1번을 1번으로 변경, 1989년 1번 회차지를 방배동으로 단축하였다.

1991년 도시형버스 3번과 동일한 좌석버스 3번을 운행했으나 1997년 폐지, 도시형버스 3번에 통합하였다. 1996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의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 1997년 대진운수의 계열사가 되었고,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2000년 계열사 대진운수를 흡수 통합, 2001년 1번의 지선을 1-1번으로 변경하여 단축하였다. 2002년 신정운수를 흡수 합병하여 마을버스 노선을 변경하였다.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지선/간선 노선으로 운행 시작, 2008년 청와대 순환버스 8000번 운행을 개시하였다(현재는 폐선).

2. 1. 1960년대 ~ 1990년대: 설립 및 성장

1962년 6월 삼선합승(삼선버스, 2001년에 서울승합으로 피합병)의 자회사로서 입석 71번 (1970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때 3번으로 변경, 당시 노선은 정릉 - 서강, 현 162번)을 대창운수(이후 동남교통, 2003년 부도로 폐업)와 공동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여, 1966년 5월 동양교통 (주)로 법인등록하였다.[1] 1978년경 도시형버스 3번은 3번 (정릉 - 영등포)과 302번 (망우리고개 - 서강)으로 분리되어 동양교통은 3번, 정마운수 (대창교통에서 1970년 사명 변경)는 302번을 각각 운행하게 되었다.[1]

1980년, 삼선버스로부터 도시형버스 1번 (정릉 - 신설동 - 한남대교 - 강남구청 - 봉은사)을 양수받아 운행하였고, 도시형버스 1-1번 (정릉 - 신설동 - 한남대교 - 고속터미널 - 방배동 - 서울고등학교)을 신설하여 운행하였다.[1] 이후 삼선버스서울승합의 자회사화 되면서 동양교통은 삼선버스와 계열분리되었다.[1] 1983년 차고지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1] 같은 해 상원여객 (2001년 동아운수에 피합병)으로부터 좌석버스 725번을 인수, 4년가량 운행하다가 동남교통에 매각하였다.[1] 1982년 1번 (정릉 - 봉은사)를 1-1번 (정릉 - 서초동)에 통폐합하였고,[1] 1987년 1-1번이 1번으로 변경되었으며,[1] 1989년 1번 회차지를 서울고등학교에서 방배동으로 단축하였다.[1]

1991년 도시형버스 3번과 노선이 동일한 좌석버스 3번 (정릉동 - 영등포)을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나, 1997년 폐지하여 도시형버스 3번에 통합하였다.[1] 1996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로부터 감차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1] 1997년 하반기 최대주주가 김기현에서 대진운수 (5-1번, 16번, 710번)로 변경되면서 대진운수의 계열사가 되었고,[1] 1998년 1월 9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1]

2. 2. 2000년대 이후: 합병 및 노선 개편

2000년 10월 계열사 대진운수를 흡수 통합하였고,[1] 2001년 1번의 동덕여자고등학교 경유 지선을 1-1번으로 변경하여 고속터미널 - 동덕여자고등학교 구간으로 단축하였다.[1] 2002년에는 성북구 마을버스 13번, 13-1번, 13-2번을 운행하던 신정운수를 흡수 합병하여 노선번호를 7번, 7-1번, 7-2번으로 변경하였다.[1]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지선버스 6개/간선버스 3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1] 2008년 5월 1일부터 청와대 순환버스 노선인 8000번의 운행을 개시하였다. (현재는 폐선)[1]

3. 운행 노선

대진여객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1]

종류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간선버스110번정릉 ↔ 정릉8~1245A: 시계 방향, B: 반시계 방향
간선버스143번정릉 ↔ 개포동5~750구 710번
간선버스162번정릉 ↔ 여의도5~931구 3번 변경
간선버스N31번국민대학교 ↔ 강동공영차고지38~5042022년 12월 1일 개통,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지선버스1014번성북생태체험관 ↔ 종로구민회관·숭인동6~911신설 노선, 구 1번 단축 및 변경
지선버스1020번정릉 ↔ 교보문고615구 135-3번 연장
지선버스1113번정릉 ↔ 상월곡역15~256구 450-1번 변경
지선버스1114번길음역 ↔ 성북생태체험관15~184구 450번 단축
지선버스1116번국민대학교 ↔ 현대백화점 미아점15~2552018년 8월 24일 신설
지선버스1162번성북구민회관 ↔ 보문역5~72구 성북마을 2번, 회차 시 성북구청 정문, 삼선동 주민센터 경유, 도원교통과 공동 배차
지선버스8002번(토요일)상명대앞 ↔ 경복궁역252신설 노선, 현대 카운티 전기버스 운행
지선버스8003번평창동주민센터 ↔ 평창동 주민센터192신설 노선, 현대 카운티 전기버스 운행
성북05번정릉2동주민센터 ↔ 정수빌라201구 성북마을 7-2번
성북06번산림초소 ↔ 길음역12~154구 성북마을 7-1번
성북07번정릉4동 ↔ 길음역104구 성북마을 7번


3. 1. 간선버스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1]

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110번정릉 ↔ 정릉8~1245A: 시계 방향, B: 반시계 방향
143번정릉 ↔ 개포동5~750구 710번
162번정릉 ↔ 여의도5~931구 3번 변경
N31번국민대학교 ↔ 강동공영차고지38~5042022년 12월 1일 개통,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3. 2. 지선버스

2023년한국어 5월 13일 기준이다.[1]

운행 노선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1014번성북생태체험관종로구민회관·숭인동6~911신설 노선, 구 1번 단축 및 변경
1020번정릉교보문고615구 135-3번 연장
1113번정릉상월곡역15~256구 450-1번 변경
1114번길음역성북생태체험관15~184구 450번 단축
1116번국민대학교현대백화점 미아점15~2552018년한국어 8월 24일 신설
1162번성북구민회관보문역5~72구 성북마을 2번, 회차 시 성북구청 정문, 삼선동 주민센터 경유, 도원교통과 공동 배차
8002번(토요일)상명대앞경복궁역252신설 노선, 현대 카운티 전기버스 운행
8003번평창동주민센터평창동 주민센터192신설 노선, 현대 카운티 전기버스 운행
성북05번정릉2동주민센터정수빌라201구 성북마을 7-2번
성북06번산림초소길음역12~154구 성북마을 7-1번
성북07번정릉4동길음역104구 성북마을 7번


3. 3. 마을버스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1]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성북05번정릉2동주민센터 ↔ 정수빌라201구 성북마을 7-2번
성북06번산림초소 ↔ 길음역12~154구 성북마을 7-1번
성북07번정릉4동 ↔ 길음역104구 성북마을 7번


4. 이전 보유 노선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1하계동종로4가
1-1하계동청량리
3하계동노들역
5-1상계4동숭인동
16하계동구로동
415상계동염곡동태진운수와 공동배차
450월계동이대부고
450-1월계동이대부고
452하계동개봉동
710상계동신사역
성북마을 5미아리고개정릉4동
성북마을 7정릉4동미아리고개
성북마을 7-1정릉4동미아리고개
성북마을 7-2정릉4동미아리고개


5. 특징

2016년 KBS 2TV의 《다큐멘터리 - 버스》에서 대진여객이 143번 버스를 운행하는 일화를 다룬 적이 있다. 대진여객은 전국 대도시 마을버스 중 유일하게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를 투입하는 노선(성북05번)을 보유하고 있다. 성북05번 마을버스에 운행 중인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기사에게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